Loading...

복제 이론 (The Desire Duplication Theory)

인간은 타자의 욕망을 욕망한다

– 자크 라캉 –

남자들은 람보르기니에 열광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타는 사람은 적습니다. 끽해야 인터넷에서 시승기를 읽거나 도로에 달리는 람보르기니를 보았을 뿐입니다. 타보지도 않고 어떻게 욕망할 수 있을까요?

여자들은 명품백에 환장합니다.에르메스백, 샤넬백… 고가의 백은 넘쳐나게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가진 사람은 적습니다. 다른 사람이 들었거나 백화점에 진열된 것을 보았을 뿐입니다. 써보지도 않은 것을 어떻게 욕망할 수 있는 걸까요?

인간은 타자의 욕망을 욕망하기 때문입니다.

욕망은 자신의 것이 아니라 타자의 것을 욕망하는 것이지요. 람보르기니를 욕망하는 것은 람보르기니 오너의 욕망을 복제한 것이고, 에르메스 백을 욕망하는 것은 가방 주인의 욕망을 복제한 것입니다. 즉, 우리가 원한다고 착각하는 것은 실은 남들이 원하는 것입니다. 욕망은 욕망을 욕망하니까요. 그래서 베스트 셀러가 모두 훌륭한 책은 아니지만 잘 팔리는 것이고, 줄을 서는 식당이 꼭 맛있는 것은 아니지만 붐비는 것이며, 인기 있는 남자, 남자가 꼬이는 여자에게 우리는 관심을 갖습니다.(여백 이론으로 연결됩니다.)

연애도 사랑도 유혹도 마찬가지입니다. 욕망은 욕망을 욕망하므로 타인이 욕망할 만한 사람에게 끌리는 것이고 타인이 욕망하는 사람에게 어쩔 수 없이 끌립니다. 또, 내가 나를 사랑하는 것을 내가 나를 욕망하는 것을 복제하여 타인이 나를 욕망합니다.

shutterstock 1009823113 resize

그러므로 내가 나를 사랑하는 것이 먼저입니다. 재회도 어장관리 역관광도 바람둥이 길들이기도 섹스 파트너에서 여자친구 되기도 내가 나를 더 사랑하지 않기 때문에 어렵고, 내가 나를 더 사랑하면 쉬워집니다. 내가 나를 욕망하는 것을 상대가 욕망하기 때문입니다.

본질적으로 밀당은 나와 타자에 대한 욕망의 조절입니다. 내가 나를 더 사랑하는 것이 미는 것이고 내가 타인을 나보다 더 욕망하는 것이 당기는 것입니다. 내가 나를 욕망하면 수위를 조절할 줄 안다면 밀당은 자연스레 됩니다. 또 나를 욕망하는 사람들이 많은 척 꾸미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나를 좋아하고 선망하는 사람이 늘어날 때, 나를 욕망하는 사람이 “실제로” 증가하면 증가할 수록 재회도 어장관리 역관광도, 바람둥이 길들이기와 섹스 파트너에서 여자친구 되기도 쉬워집니다.밀당도 자연스레 될 뿐만 아니라, 타자의 욕망들이 그들을 옥죄어 나를 욕망할 수 밖에 없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내가 나를 사랑하는 것, 내가 나를 욕망하는 것은 이기적으로 굴라가 아닙니다. 타인을 멸시하라가 아닙니다. 순수하게 내가 나를 사랑하는 것입니다. 이것이야 말로 건강한 자기애. 타자는 건강한 자기애를 복제해 나를 욕망하게 됩니다. 그러나 내가 나를 사랑한다고 내가 나를 욕망한다고 이기적으로 굴고 싸가지 없이 군다면 타인의 멸시를 받습니다. 병리적인 자기애이기 때문입니다.

나를 더 사랑하세요. 또 내가 나를 더 욕망하세요. 건강한 자기애라면 이를 조절할 줄 안다면, 밀당이 자동으로 되는 것은 물론 당신 넘치는 사랑 받을 수 있습니다. 타자와 잘지내세요. 건강한 대인관계를 맺고 범위를 넓히세요. 남자든 여자든 공평하게 대하면서 내가 나를 욕망하세요. 그래서 타자가 나를 욕망하게 하세요. 사람들이 나를 욕망하게 됩니다. 사람들이 끌려옵니다. 이것이 레이커즈 지침과 기술의 핵심. 복제 이론(The Desire Duplication Theory)입니다.

오용을 방지하고 영업비밀을 보호하기 위해 일부만 공개했지만, 내가 나를 온전히 욕망하고, 내가 나를 먼저 사랑한다면, 어떤 문제든, 재회든 어장관리 역관광이든, 바람둥이 길들이기나 섹스 파트너에서 여장관리가 되는 것이든, 외도든 환승이든 연애 능력 향상이든. 결과, 분명 달라지니까요.

덧붙임>>

프로그램 내담자들에게 주변 모든 사람과 듣기 훈련을 하거나 기술 훈련을 하라 하는 이유, 특정 연습 장소에서 많은 사람을 만나라 하는 이유. 가급적 많은 사람을 주변에 두라 하는 이유. 대인관계의 폭을 넓히라 하는 이유. 밀당을 가르치는 이유. 또, 문서나 전화 상담에서 질투 지침을 간혹 쓰는 이유 역시. 모두 복제이론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