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사랑의 지도

운명적 사랑, 어쩔 수 없는 사랑의 비밀

아무리 사소하고 이해하기 힘든 행동이라 해도 우연하게 일어난 것은 없습니다. 모두 심리적 원인에 의해 결정된 것입니다. 심리적 현상은 그에 선행하는 “무엇”에 의해 결정됩니다. 어른의 행동은 성장기의 경험에 의해 동기가 결정되어 있습니다. 이것이 인간. 그리고 인간의 심리적 특징입니다.

성장기에 욕구를 적절히 충족한 사람은 자신감이 있고 관대하며 세상에 대해 신뢰감을 지니는 안정적인 성격을 가지게 되지요. 반면 욕구가 과도하게 충족되거나 좌절된 사람은 의존적이거나 자기 중심적이 되기 쉽습니다. 집착을 하기 쉬우며 양가 감정(상반된 감정을 동시에 지니는)적인 성격이 되기 쉽지요. 이성관계도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완벽한 양육과 성장을 하지 못합니다. 충분히 좋은 엄마. 즉 적절한 좌절도 적절한 충족도 주는 부모는 존재하기 힘드니까요. 그래서 누구에게나 약점은 있습니다.

shutterstock 529004749 resize

이런 약점은 욕구 충족의 정도에서만 생기는 것이 아니라 엄마와의 관계, 부모님과의 관계, 형제 자매와 친구, 선후배와의 관계 그리고 연인과의 관계 등에서 영향을 받습니다. 사회적 지위와 부, 인맥과 문화적 환경도 큰 영향을 미치지요. 속칭 모델링 효과이고 상호작용의 효과 입니다. 물론 타고난 기질(까다롭냐? 안정적이냐? 충동적이냐 등)도 영향을 미칩니다.

즉, 이 사람의 행동은 대체로 결정된 경우가 많습니다. 노력이나 환경에 의해 변화도 있긴 하지만 삶의 맥락. 성장력과 발달사, 대인 관계와 연애사, 가족 관계와 가족의 특성을 보면 한 사람이 고스란히 읽힙니다. 또 그 사람의 언어와 비언어, 타인과의 상호작용 등을 살펴보면 퍼즐이 맞춰 집니다.

따라서 그 사람의 성장발달력과 생활사, 대인관계 등을 면밀히 살피면 그 사람이 어떤 이성에 끌리고 어떤 이성을 싫어하는지 어떤 사람에게 동질감을 느끼고 어떤 사람에게 이질감을 느끼는지 어떤 언어를 좋아하고 어떤 태도를 싫어하는지는 자연히 알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어떤 이미지를 가진 사람들(다양할 수 있습니다)에게 자동적으로 끌리는지도 윤곽을 잡을 수 있습니다. 이것을 바로 사랑의 지도라 부릅니다.

shutterstock 1944753247 resize

1986년 성심리학자 Money가 사람마다 다른 “사랑의 지도”를 가지고 있다고 학계에 보고한 이래, 사랑의 지도는 단, 한번도 뒤집어지지 않았습니다. 관념적으로도 맞고 설득력이 있는데다 과학적 증거가 명확하고 반례를 낼 수 없었기 때문에 수 많은 성심리학자들이 물고 뜯고 달려들었어도 굳건하게 자리를 잡고 있는 것입니다. 어른들이 흔히 하시는 시어머니가 며느리를 낳는다란 말. 사위가 더 아들같다는 말. 공연히 나온 말이 아니겠지요?

인간은, 자신의 사랑의 지도에 맞는 사람에게 자동적으로 끌립니다. 모든 행동에는 우연 없습니다. 이성에 의해 움직인다고 믿지만 감정에 끌려 다니는 인간. 숙명적인 사랑도 사실은 어린시절부터 편도체에 아로 새겨진 감정의 기억 그리고 경험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결핍으로 나타나고 결핍은 욕구로 욕구는 행동과 감정을 조절하므로 길은 정해진 것이니까요.

레이커즈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바로 사랑의 지도 때문입니다. 상대방의 사랑의 지도를 읽고 이에 걸맞는 이미지를 전달하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거부할 수 없는 메시지 줄 수 있는 것이고 어장녀도 바람둥이도 두들겨 잡고, 헤어진 그 사람도 되돌리는 것이랍니다. 그래서 레이커즈, 하는 것(To Do)이 아니라 되는 것(To Be)이라 하는 것 이겠지요?

해법은 늘 있습니다. 문제는 방법이 아니라 사람입니다. 인간에겐 우연이 없고 우연이 있다면 우연을 가장한 필연. 그 필연을 필연으로 만드는 것은 사람입니다. 하지만, 나답다에 갖히고 가지려는 마음이 앞서며 버림 받을까 두려워 상대방을 유혹할 이미지에 맞춘 전략적 행동을 하지 못하는 것도 사람이지요.

그런 사람들을 돕습니다. 상대방이 자동적으로 끌리는 이미지를 알려주고, 유혹력을 확보해줍니다. 그것이 바로 레이커즈의 일. 레이커즈의 사명이랍니다.

참고로, 레이커즈가 성장 발달력과 그 사람의 언어, 비언어적 패턴을 살펴보고 그 사람의 사고방식과 감정의 흐름을 읽을 때는 도식을 중심으로 봅니다. 도식에 의한 분석은 심리도식적 접근을 실시하는데 내용은 아래 칼럼

칼럼 : 그 사람의 마음과 약점을 읽는 법 – 사랑의 지도 심리 도식적 접근 => 바로가기

에서 소개하고 있습니다. 매우 어려운 내용이나 궁금하시다면 확인해 주셔도 나쁘진 않으실 것입니다. 이상 레이커즈였습니다.